2025. 4. 1. 13:32ㆍ카테고리 없음
대한민국 대통령이 탄핵으로 파면될 경우, 60일 이내에 새로운 대통령 선거가 실시됩니다. 이렇게 선출된 새 대통령의 임기는 5년으로, 전임자의 남은 임기를 승계하는 것이 아닌 전임과 무관하게 새롭게 시작됩니다.

1. 헌법에 따라 정해진 절차
대한민국 헌법 제68조 제2항에 따르면,
“대통령이 궐위된 때에는 60일 이내에 후임자를 선거한다.”
즉, 탄핵이나 사망, 사임 등으로 대통령직이 공석(궐위)이 되면 60일 이내에 새 대통령 선거를 실시해야 합니다.
2024.12.12 - [2014/202412] - 대통령 하야와 탄핵 후 예우의 차이점!
대통령 하야와 탄핵 후 예우의 차이점!
대통령 하야와 탄핵의 차이와 퇴임 후 예우📑 목차1. 대통령 하야와 탄핵이란?2. 대통령에 대한 퇴임 후 예우3. 주요 차이점 요약4. 실제 사례5. Q&A: 대통령 퇴임 후 예우에 대한 궁금증6. 마무리1.
maneros.tistory.com
2. 새로운 대통령의 임기 시작은?

탄핵으로 인해 당선된 대통령도 정상적인 절차로 선출된 대통령과 동일하게 임기 5년을 보장받습니다.
✅ 주의할 점 탄핵으로 인한 보궐선거는 일반적인 보궐선거와 달리 임기를 전임자의 잔여 기간으로 제한하지 않습니다.
🕔 즉, 완전한 5년 임기를 갖습니다!
2024.12.26 - [2014/202412] - 대통령 권한대행인 총리 탄핵 절차와 필요한 정족수 요건은 어떻게 되나요?
대통령 권한대행인 총리 탄핵 절차와 필요한 정족수 요건은 어떻게 되나요?
📑목차1. 서론2. 대통령과 동일하게 봐야 한다는 관점3. 국무총리와 동일하게 봐야 한다는 관점4. 현재 상황 및 논의5. 결론6. 자주 묻는 질문 (Q&A)1. 서론대통령 권한대행인 국무총리를 탄핵하는
maneros.tistory.com
3. 예시로 이해하기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사례 (2017년)
- 2017년 3월 10일: 박근혜 전 대통령 헌법재판소 탄핵 인용 → 파면
- 2017년 5월 9일: 제19대 대통령 선거
- 당선자: 문재인 대통령
- 👉 문재인 대통령의 임기: 2017년 5월 10일 ~ 2022년 5월 9일 (정상 5년)
2025.02.17 - [202502] - 대통령 탄핵 vs 하야, 차이점은? 퇴임 후 예우까지 총정리!
대통령 탄핵 vs 하야, 차이점은? 퇴임 후 예우까지 총정리!
대통령 탄핵 vs 하야, 차이점은? 퇴임 후 예우까지 총정리!대통령이 임기 중 자리에서 물러나는 방식에는 탄핵과 하야가 있습니다.이와 함께 대통령이 퇴임 후 받는 예우에도 차이가 존재합니다.
maneros.tistory.com
4. 자주 묻는 질문 (Q&A)
5. 한마디 정리

탄핵으로 대통령이 파면되면, 60일 이내에 새로운 대통령 선거가 열립니다. 새 대통령은 전임자의 임기와 관계없이, 자신만의 5년 임기를 새롭게 시작합니다.
2025.03.15 - [분류 전체보기] - 탄핵 기각, 각하, 인용(파면) 뜻 및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탄핵 기각, 각하, 인용(파면) 뜻 및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탄핵 소추가 진행될 때 결과는 크게 기각, 각하, 인용(파면) 세 가지로 나뉩니다. 각각의 의미와 절차를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목차1. 탄핵이란?2. 탄핵 기각, 각하, 인용(파면)의 차이3. 탄핵
maneros.tistory.com